소장품레지던시예정전시
어린이미술관뮤지엄샵알림마당
로고 모바일

건축소개

선생의 생가 터, 양구읍 정림리에 세워졌다. 선생이 처음 ‘그림’에 발을 들여놓게 된 곳이다.
이 곳의 풍경은 선생의 그림에 어떤 원형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대지에 미술관을 새겨나간다.” 대지를 뒤로하고 돌아섰을 때 제일 먼저 떠오른 말이었다.
“....박수근의 그림은 그려진 것이기보다는 새겨진 것이다. 나타낸 것이기보다는 드러낸 것이다. 그의 matiere는 화면 전체를 장악하고 있으며 그리려는 뜻은 matiere 속에서 함께 작동되고 있 다.....’ 메모는 계속 되어나갔다.

이 미술관 자체가 선생과의 만남을 만들어내는 통로이어야 한다.
그것은 선생이 경험했을 풍경(현상적 경관)을 매개로 이루어진다. 건축은 그 매개과정을 조율한다.
그러기에 이 미술관은 유물, 유품, 그의 그림 이전에 건축 그 자체로써 매개의 장치가 되고자 한다.
먼 진입로에서 산줄기의 끝자락을 감아 도는 미술관 자체의 덩어리에서 경험은 시작된다.
한 두자 크기로 부수어진 화강석 덩어리가 다시 큰 덩어리와 면을 이룬다. 화강석들은 사이사이 가 시멘트 몰탈로 채워지지 않은 채 쌓여져 있다. 그림의 마티에르와 건축의 마티에르를 본다. 긴 진입로를 휘감아 돌아 들어간다. 선생을 만나는 길이 쉽고 짧아서야 되겠는가? 멀리서 보았던 화강석 덩어리를 손끝으로 느끼며 간다.
돌아 들어간 끝에는 뒷산과 하늘로만 열린 마당이 나타나고 그 사이를 냇물이 흘러간다.
이 곳은 건축의 경험이 ‘선생을 기리는 마음’으로 올라서는 장소이다. 선생의 모습도 조각되어 있다.
선생과의 경험은 선생이 보여준 삶에 대한 이해와 함께 우리에게 어떤 충동으로 작용되기를 바란다.
양구군은 미술관 옆 골짜기 수 천평을 추가로 확보했다.
이 곳에는 미술관을 통해 자극된 일상의 생활들; 미술작업, 워크샾, 체류 등등의 직접적인 체험이 가능한 장소로 계획되어 나갈 것이다.
결국 양구의 박수근 미술관은 많은 다른 지자체의 1회성 사업과 달리 꾸준한 내용을 가지고 전개되 어 나갈 것이다. 더구나 전례없이 전임 큐레이터도 확보했고 의욕적인 명예관장이 위촉되었으며 지혜로운 선양위원회가 계속 힘을 실어주고 있으니.......

이 종호 1957년 생 스튜디오 메타 대표

한양대학교 건축학과를 나와 김 수근의 공간연구소에서 10년을 보내며 건축수업을 하였다.
1989년 STUDIO METAA를 설립하고 건축활동과 더불어 무대 디자인, 지역 축제 기획, 문화시설 기획 등의 폭 넓은 활동을 전개해 왔다. 1994년부터 '서울건축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관여해 오고 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건축대학원의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율전교회, 홍천휴게소, 용두리 주택 등의 프로젝트로 건축가 협회상, 건축문화 대상, 아천상 등을 수상했으며 특히 바른손 센터로 1995년 김수근 문화상을 수상하였고 최근에는 명지대학교 방목기념관으로 건축가 협회상을 다시 수상하였다.
2002년 광주 비엔날레의 초대작가로 p4의 전시장을 구성하였으며 양구에 지어지는 박수근미술관으로 2002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의 초대작가가 되었다.